경제효과 – 값으로 환산하는 것이 과연 합당할까

By |11월 17th, 2025|Categories: 경제, 생활|Tags: , |

수 년전까지 대형 이벤트나 정부의 경제정책 발표에서 "경제효과"라는 단어는 자주 등장해 왔다. 특히 이명박 정부는 2010년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면서, 이 회의가 한국 경제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며 엄청난 홍보를 펼쳤는데 당시 정부는 "G20 정상회의가 한국 경제에 약 13조 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대대적인 광고 캠페인을 벌였다. 그러나 회의가 종료된 이후, 경제적 파급 효과가 실제 국민들의 생활에 어떤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정부는 경제효과를 운운하며 자화자찬을 하지만 이로 인해 체감되는 효과는 거의, 아니 전혀 없었다고 해도 될 정도로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정부의 경제효과 홍보는 국민들이 기대한 만큼의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환영받지 못하는 데이터센터 vs 환영받는 반도체공장

By |11월 14th, 2025|Categories: 기술, 생활|Tags: , , , , , , , , |

최근 여러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주민 반대운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반면, 같은 대형 산업시설인 반도체 공장은 비교적 환영을 받거나 찬성 분위기가 많은 경우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왜 두 시설이 이렇게 서로 다른 반응을 얻는 걸까요? 본 글에서는 전력소모량, 전자파·전기안전, 일자리 효과, 열섬 현상, 물·자원 사용량 등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두 시설을 비교·분석하면서, ‘데이터센터가 왜 환영받지 못하는가’에 대한 원인도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전력소모량 비교 데이터센터: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약 240 ~ 340 TWh로, 이는 전 세계 최종 전력 수요의 약 1 ~ 1.3% 수준이다. 또한, 대형화·AI 기반 워크로드 증가로 인해 랙당 전력밀도가 과거보다 급격히 상승했으며, 한

조류독감, 메르스, 코로나 19 – 감염병의 예측과 관리

By |11월 14th, 2025|Categories: 느낌, 생활|Tags: , , , , , , |

한국은 지난 몇 년간 조류독감, 메르스, 그리고 COVID-19와 같은 대규모 전염병을 경험하며 그 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왔다. 특히 COVID-19의 경우에는 전세계가 락다운을 하고 이동을 통제하는 상황에서도 락다운 없이 위기를 잘 헤쳐나가는 한편 COVID-19대응에 있어 다른나라의 모범사례로 소개될 정도로 놀라운 관리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현재는 그때에 비해 많은 상황이 변화하였고, 앞으로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에 대해 한번 예측해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과거 - 조류독감, 메르스, COVID-19... 한국은 2003년과 그 이후 여러 차례 조류독감(AI: Avian Influenza) 발생을 겪으며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를 키워왔다. 특히 2014년과 2016년에는 대규모로 발생하여 수백만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한국 정부는 당시 AI 기반의 예측

스마트글라스와 웨어러블 기기의 시대에서의 시계산업 – 과연 어떻게 전개될까

By |11월 12th, 2025|Categories: 기술, 느낌|Tags: , , , , , , , , , , |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스마트워치는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스마트워치의 자리를 스마트글라스와 스마트링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차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증강 현실(AR) 기술이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실현되면서, 기존 스마트폰의 기능과 웨어러블 기기들의 역할이 점차 스마트글라스로 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의 생활 역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미래가 전개될 것인지를 생각해본다. 초기 AR 기술의 등장 - 구글 글라스와 그 한계 AR 기술의 대표적인 초기 사례로는 구글 글라스를 들 수 있다. 구글 글라스는 2013년에 출시되어 세간의 이목을 끌었지만, 디자인과 기능 면에서 많은 한계를 드러냈다. 그 당시 구글 글라스는

한국의 날씨변화 – 엘니뇨와 라니냐의 영향일까

By |11월 10th, 2025|Categories: 생활|Tags: , , , , , |

2025년 올해 한국은 한국을 지나가는 태풍의 수가 극단적으로 적었고 - 아니, 그냥 없었다고 해도 될 정도로 아주 극히 미미한 영향을 그것도 간접적으로 끼쳤을 뿐이다 - 여름과 겨울은 유난히 길고 짧은 형태로 나타났다는 점은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의 경우는 엘니뇨 현상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엘니뇨는 태평양의 적도 부근에서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상승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전 세계적인 날씨 변화가 발생하는데 보통 엘니뇨가 발생하면, 한반도에는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이 지속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엘니뇨는 태풍의 수를 감소시키고, 강수 패턴도 영향을 미치는데 2023년처럼 태풍이 적고, 비가 짤고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도 엘니뇨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휴머노이드 – 인류에게는 축복일까 재앙일까

By |11월 5th, 2025|Categories: 기술, 느낌|Tags: , , , , |

현대 산업 현장과 일상에서 로봇은 이미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공장에서는 용접, 조립, 포장과 같은 반복 작업을 수행하고, 물류센터에서는 제품 운반과 포장을 맡는다. 서비스 산업에서도 안내, 청소, 헬스케어 등 제한된 환경에서 인간과 협업하는 로봇이 활약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로봇은 특정 환경에서만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계단, 문, 손잡이 등 인간 중심 설계 환경에서는 활동이 제한적이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휴머노이드, 즉 인간형 로봇이다. 휴머노이드는 단순히 사람을 닮은 외형이 아니라, 인간 환경에서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움직이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왜 휴머노이드를 개발하는걸까 휴머노이드 개발의 핵심 목표는 인간 환경 적응과 범용성이다. 인간 환경 적응:

한국언론의 신뢰도 – 왜 이리 낮은걸까

By |11월 3rd, 2025|Categories: 느낌, 생활|Tags: , , , , , |

한국 사회에서 “뉴스를 신뢰할 수 있다”고 답하는 사람은 전체의 3분의 1 수준, 아니 사실은 31%정도라는 조사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국제 비교에서도 하위권이며, 이는 단순히 “언론이 문제다”로 끝날 이야기가 더 이상은 아니라고 볼 상황이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 민주주의의 질, 정보 생태계, 사회적. 합의 형성 능력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신호이기 때문이며 신뢰받는 언론이 없는 사회는 사실을 두고도 싸우게 되고, 국론은 지금처럼 쉽게 양분되며 그 충돌은 더욱 격화될 것이므로 한국 언론 신뢰도 문제는 가치 논쟁이 아니라 공공 시스템의 안정성 문제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 언론 불신의 구조적 원인 한국 언론 불신은 개인 기자의 문제나 우발적 오보가 원인이 아니며 주요 구조적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 – 현재의 기술수준과 과제

By |11월 1st, 2025|Categories: 기술, 느낌|Tags: , |

하늘을 나는 자동차, 하늘 택시라는 말이 더 이상 공상과학 영화의 상징만은 아닌 것이라는 것이 점점 느껴지고 있다.  뉴스에서도 이제는 기존의 무인 드론이 여러 부문에서의 활약을 너머 이젠 전쟁에서도 적극적으로 이용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 되었다. 이제 사람을 태우고 하늘을 나는 드론(eVTOL) 기술이 전 세계에서 실험되고 있고 교통 체증을 줄이고, 도심과 공항, 외곽을 연결하는 미래형 교통망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술적 혁신과 친환경 흐름이 맞물리며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이라는 새로운 산업이 열리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eVTOL의 원리와 진화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은 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로서 수직이착륙기를 의미하는데 헬리콥터처럼 수직으로 이륙하지만, 전기 추진으로 구동되고 프로펠러가 여러 개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