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날씨변화 – 엘니뇨와 라니냐의 영향일까

2025년 올해 한국은 한국을 지나가는 태풍의 수가 극단적으로 적었고 – 아니, 그냥 없었다고 해도 될 정도로 아주 극히 미미한 영향을 그것도 간접적으로 끼쳤을 뿐이다 – 여름과 겨울은 유난히 길고 짧은 형태로 나타났다는 점은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의 경우는 엘니뇨 현상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엘니뇨는 태평양의 적도 부근에서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상승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전 세계적인 날씨 변화가 발생하는데 보통 엘니뇨가 발생하면, 한반도에는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이 지속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엘니뇨는 태풍의 수를 감소시키고, 강수 패턴도 영향을 미치는데 2023년처럼 태풍이 적고, 비가 짤고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도 엘니뇨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대기 순환이 변하면서 발생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라니냐는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차가운 상태로, 전 세계 날씨에 엘니뇨와는 반대되는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한국에서는 보통 비가 많이 오는 여름과 강추위가 이어지는 겨울이 왔으며, 2023년은 엘니뇨에 의한 영향이 크지만, 향후 몇 년 내에 라니냐 현상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엘니뇨의 영향을 받는 것과 유사한 현상이 한반도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게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앞으로 더 강하고 추운 시기가 올 것의 전주곡일지에 대해 궁금하게 되었다.

날씨의 전망 – 향후 5년간

향후 5년간의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는 여러 요소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지구 온난화와 해양 및 대기 순환 패턴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한반도의 여름은 더 뜨겁고, 겨울은 더 온화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여름철에는 폭염이 잦아지고, 겨울철에는 폭설 대신 비교적 따뜻한 겨울 날씨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강수량의 집중화가 예상되는데, 이는 비가 한꺼번에 내리거나, 건조한 날씨가 길어지는 패턴을 의미한다.

기후 모델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엘니뇨와 라니냐의 주기도 짧아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후의 불규칙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엘니뇨로 인한 여름철 고온과 겨울철 온난화가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태풍은 여전히 적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지만, 강도는 더 강해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 – 인류의 책임일까?

지구 온난화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인류 활동이 그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인간의 산업화로 인해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아산화질소(N₂O) 등의 온실가스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인데 이 온실가스들이 대기 중에서 열을 가두어, 지구의 평균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산업 혁명 이후, 인간이 사용하는 화석 연료의 양이 급증하면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졌고, 이는 전 세계적인 기온 상승을 초래했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의 활동이 기후 변화에 미친 영향은 95%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반도 인근 해역의 변화와 기후 변화의 영향

최근 들어 한반도 근처 해역에서 열대어들이 발견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예전에는 보이지 않던 참치가 올해는 약 1300여마리가 잡혔다는 뉴스가 들릴 정도였으니…

이렇게 열대 지방의 물고기들이 한국 해역까지 올라오는 이유는 해수면 온도가 상승했기 때문인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바다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기존에는 주로 열대지방에 서식하던 생물들이 점차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한라봉과 같은 열대 과일이 내륙에서 재배가 가능해진 것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겨울철 기온 상승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한라봉을 포함한 열대 과일이 남부 지방에서만 자생했지만, 이제는 내륙에서도 재배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겨울철 기온이 더 이상 차가운 ‘한파’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기후 변화의 결과물로, 단순히 한두 가지 현상에 그치지 않고, 생태계와 농업, 어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기후 변화는 일시적이고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우리가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엘니뇨와 라니냐 같은 자연 현상도 영향을 미치지만, 인간의 활동이 기후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는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5년간은 더 뜨겁고 불규칙한 날씨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며, 한반도 주변의 생태계와 농업에 대한 변화도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날씨와 기후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우리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인간의 생활 패턴이 변하지 않는 이상 우리는 미래의 먹거리를 비롯하여 생활. 전반에 대한 새로운 적응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자료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081256001
https://www.ipcc.ch/assessment-report/ar7/

이미지 저작권

Bru-nO – Pixabay.com
https://pixabay.com/photos/heat-hot-summer-sun-fan-air-3571028/

Share This Story, Choose Your Platform!

About the author : admin

Get Social

카테고리

최신 댓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