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으로의 급격한 변화와 은행업의 딜레마

금융업은 기본적으로  ‘고객이 맡긴 돈을 굴려 이익을 창출하고 그 이익을 고객에게 나누며 이에 대한 업무비용을 취하는’ 구조가 주된 업무이다. 하지만 최근 인터넷 및 모바일 금융의 등장과 함께 이들과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비용 구조 압박은 은행업 내부의 수익 배분과 영업 모델 자체에 균열을 냈다. 오프라인 점포 수를 줄이고, 인력을 재배치하려는 은행 측 시도는 경영 효율성 차원에서는 이해되나, 금융 서비스 접근성이나 노동자 보상 측면에서는 강한 반발을 낳는다. 특히 은행 노조는 단순 반대를 넘어 대안과 책임 요구를 제시하고 있으며, 대중은“고객 서비스는 나빠지는데 보수는 왜 줄지 않느냐”는 의문을 던지고 있다. 이런 점들에 대해 은행업의 인터넷전환 흐름 속에서 노조의 입장과 대안, 급여 수준의 정당성 논쟁, 해외 사례와 비교를 하면서 생각해본다.

 

노조의 현실 인식과 반대 논리

은행 노조는 구조조정 동향이 본격화됨에 따라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기존 구조 유지’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과 근로조건 개선, 고용 안정장치 마련, 노동 시간 단축 등을 포함한 포괄적 요구를 제시한다. 2025년 금융노조는 4.5일제 도입과 임금 인상(5% 안팎) 요구를 제시하며 총파업을 예고한 바 있다.

특히 노조는 “지점 축소나 점포 통폐합이 몰아치는 시점에서 노동자의 희생만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구조조정보다 ‘전환 배치’와 ‘사회적 안전망’ 중심의 정책적 대응을 요구하고 있으며 노조의 논리는 아래와 같이 세가지로 볼 수 있다.

고용 불안: 지점 통폐합 시 해고 또는 인력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있으며, 특히 창구 직원 중심의 직군이 가장 타격을 받는다.

임금, 근로 조건 양보 요구에 대한 반발: 노조는 오히려 현재도 물가 상승 및 업무 요구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실질임금 보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사회적 책임 원칙: 점포 축소가 고령층 등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데, 이로 인한 비용을 노동자에게만 떠넘기는 것은 부당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노조는 반대만을 주장하지 않으며, 구조조정 흐름 속에서도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예컨대 지점 통합 대신 이동점포 운영 강화, 지역 순회 서비스 확대, 지점 축소 시 재교육 및 전환 훈련 프로그램 적용, 영업시간 조정으로 근무시간 단축 대응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제안에는  “금융기관, 지방자치단체, 노동조합, 금융당국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체를 구성하자”는 구상도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노사갈등을 반복하는 수준을 넘어, 정책적 설계 단계에서 노동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평균 급여 수준은 과한가? 논쟁의 쟁점

인터넷 전환과 비용 절감 압박 속에서도 은행 직원들의 평균 보수는 다른 업종 대비 높은 수준이라는 평가가 종종 언론과 토론에서 오르내린다. 금전적으로 보면, 4대 시중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이 약 1억 원대에 달한다는 보도도 여러 차례 등장했다. KB,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평균 연봉을 1억1368만 원 수준으로 제시하였다는 보도, 또한 2023년 기준 5대 은행 직원 평균 연봉이 1억1490만 원이라는 통계를 인용하며 비판적 여론을 부추기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균치가 곧 “과도한 보수”라는 평가로 직결되지는 않는다.

직군, 직책별 보수차이: 평균 보수에는 관리직, 본사 직군, 성과급, 상여금, 보너스 등이 포함되며, 창구 직원이나지역 지점 직원의 보수는 평균치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 수익을 직원에게 환원: 은행이 창출하는 수익(예대 마진, 비이자 수익 등) 규모가 커지면서 그 일부를 직원에게 환원해야 한다는 노조 측 주장은 특히 최근 몇 년간 은행권의 이자 이익 확대와 수익성 증가는 시장과 언론 지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서비스 수준과 보수의 괴리: 은행의 대고객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악화되고 있음에도 보수 수준은 이에 상응하여조정되지 않는다는 감정적, 도덕적 비판이 존재한다. 노조 측은 이에 대해 “근로 강도 증가, 디지털 채널 고객 응대 책임 증가, 업무 복합성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실질 부담은 이미 커진 상태”라고 반박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급여 수준을 둘러싼 논쟁은 단순히 높다-낮다의 문제가 아니라, 직무별 임금 격차, 보수 구성 구조의 투명성, 수익과의 연계성, 서비스 책임과의 연동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복합 쟁점이다.

 

해외 은행업 종사자의 보수 구조와 비교

은행업 국가 간 보수 비교는 단순환율 계산만으로 설득력이 크지 않지만, 대략적인 경향과 직무별 격차 구조를살피는 데는 유용하다.

미국: 리테일 은행 직원의 평균 보수가 직급과 지역에 따라 다양하지만, 연간 미화 6만 ~ 10만 달러 정도가일반적이다. (특히 지점 관리자, 상업금융 담당자는 이보다 훨씬 더 높은 보수를 받는다.)

영국: 은행업 평균 보수가 대략 £40,000 ~ £60,000 수준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여기에도 역시 관리, 본사 직급의 보수는 훨씬 더 높다.

일본: 은행권 평균연봉은 약 600만 ~ 700만 엔대 수준이라는 통계가 있지만 일본 은행업은 업무 관행, 보수 구조, 연공서열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단순 비교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비교 지표를 통해, 한국 대형 은행 직원의 평균 보수 수준은 자국 평균 임금 대비 크게 높으며, 일부 직군은 해외 유사 직군 대비 경쟁력이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비용 구조, 생활비, 업무 강도 등을 고려하면 “과하다”는 비판이 무조건 타당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공정성과 책임 연계성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없으면 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노조의 대안과 그 한계

노조는 단순 저항을 넘어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동자를 보호하고 재배치할 수 있는 여러 제안을 내놓고 있는데, 지점이 폐쇄되는 지역에선 이동점포나 순회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폐쇄 대상 인력에 대해선 재교육 및 직무 전환을 통한 재배치 기회를 보장하자는 것, 또한 노조는 근로시간 단축 요구 (주 4.5일제 도입)도 함께 제기한다.

그러나 이 제안은 현실적 제약이 많다. 금융업은 연속성과 신속 응대가 요구되는 업무가 많기 때문에 근로시간축소가 서비스 지연이나 업무 공백으로 이어질 소지가 있으며, 노조가 제안하는 재교육-전환 프로그램은 비용과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은행 측의 협조 없이는 실행이 어렵다.

더 한계적인 부분은, 노조 제안은 주로 “보호”와 “전환” 중심이지, 은행의 근본적 수익 구조 개혁이나 금융 소비자 책임 강화 제도까지 포괄하진 않는다는 점이다. 즉 노조 요구만으로는 “서비스 책임과 보수 책임 연계 구조”를 자동적으로 설계할 수 없기 때문에, 제도적 또는 사회적 차원의 안전장치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수익 중심 은행’과 서비스 책임의 균형

은행이 고객 예금을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 수익을 지급하며 그 일부를 직원 보수로 돌리는 것은금융업의 기본 구조지만, 그 구조가 무제한 확대될 경우 서비스, 접근성, 공공성 측면에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과 같은 예대 마진 확대 추세가 지속되면, 은행은 비용 절감, 이윤 극대화 압박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지역 점포 축소과 고객 서비스 후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익 중심 접근 vs 서비스 책임”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정립하느냐가 핵심 쟁점인데 은행이 비용 절감과 수익성 압박에 몰입하더라도, 금융포용과 접근성 보장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외면하면 금융 불평등과 사회적비용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책임을 제도적으로 강제하는 쪽으로 보완책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지점을 폐쇄할 경우 대체 서비스 제공 의무, 최소 거리에 현금입출금기 배치, 이동 점포 운행, 대리점 서비스 허용 등의 제도적 규제가 병행될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보수 수준과 서비스 책임을 연계하여 고보수 직군일수록 책임성, 성과, 공익 기여도에대한 평가를 강화하는 내부 제도 설계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도적, 정책적 대안

은행 노사 갈등이나 보수 논쟁을 넘어, 구조조정과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금융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은 어떤 것이 있을까

사회적 대화 구조 구축: 은행, 노조, 금융당국,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마련해 지점 폐쇄 전에 영향 평가를 하고 대체 서비스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이 있다.

전환 지원 프로그램 제도화: 지점이 축소될 경우 해당 인력에게 재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직무(디지털 고객지원, 순회 서비스, 지역 맞춤 금융 상담 등)로 전환할 수 있게 정부-은행-노조가 공동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

보수, 성과, 책임 구조의 재설계: 보수 수준의 투명성 제고, 직무별 분류 공개, 수익성과 서비스 책임을 연계한 인센티브 구조 조정과 함께 고수익 시기에는 일부 초과 이익을 사회 환원하거나 고객 혜택 프로그램 강화에 쓰도록 유도한다.

금융포용 규제 도입: 만일 은행이 일정 지역에서 점포를 폐쇄할 경우 최소한의 대체 서비스(이동점포, 무인입출금기 설치, 우체국 연계 서비스 등)를 제공하도록 강제하는 법률 또는 감독 규제를 마련한다.

지역 공공 금융 인프라 강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공공적 금융창구 또는 커뮤니티 금융 허브를 설치하고, 금융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농어촌, 소외지역 등)에 대한 특별 지원을 병행한다.

 

향후 전망과 노조 중심 갈등 가능성

앞으로 은행업은 디지털 채널 중심 구조로 더욱 변화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지점은 사람중심에서 ‘브랜드 거점’ 또는 복합 공간 위주로 재편되고, 많은 관내 창구 기능은 디지털화될 것이다. 이런 변화속에서 노조는 관성적 반대보다는 전환 협상 중심 전략을 택하지 않으면 지속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

갈등 국면은 특히 “근무시간 단축 요구”나 “임금 인상 요구”가 실질 서비스 부담과 충돌할 때 격화할 수 있다. 서비스 지연, 고객 불만, 비용 증가 우려 등이 반대 여론을 자극할 수 있다.

다만, 노조가 협상력을 높이려면 단순한 요구 나열에서 벗어나 사회적 공감대 형성, 책임 연계 제안 마련, 구체적전환 시나리오 제시 등이 필수적이다. 금융당국이나 정부도 이러한 전환을 제도적으로 견인하고 조정할 책임이커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업의 인터넷화와 점포 축소 흐름은 불가피한 변화의 모습이지만, 그것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다. 노조는 단순 보전을 넘어 전환과 책임 중심의 요구를 제기하고 있으며, 급여 수준 논쟁 역시 단순히 높거나 낮다는 점을 너머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재교육과 직무전환 중심의 대응이유효함을 보여주지만, 한국 현실에 맞는 설계가 필수다. 은행, 노조, 정부가 공동으로 책임을 분담하고, 금융 소비자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안전판을 마련하면서도 수익성과 책임의 균형을 맞추는 방향이 향후 경영 전략과 사회적 합의를 가르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https://www.pwc.com/kr/ko/insights/industry-focus/reinterpreting-the-role-of-local-bank-branches.html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no=92039&siteId=1
https://m.ceoscoredaily.com/page/view/2025021415481093976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82412404065832
https://v.daum.net/v/20250921093513939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4/12/27/4KKP47YEFVA2ZAT6D5YV7C22EU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5/01/17/S7CY4WV3JRE4FNOCPZ75TJ27YY/
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2050218
https://www.newsto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78

이미지 저작권

HeungSoon – Pixabay
https://pixabay.com/photos/don-money-call-finance-cash-3565703/

Share This Story, Choose Your Platform!

About the author : admin

Get Social

카테고리

최신 댓글

    Tags